예언과 대언

하나님의 달력 - 절기 알아야 하는가?

바나바스 2017. 11. 18. 11:02


절기에 대해 이번기회에 확실히 배웁시다.



유대인 7대절기 (23)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애굽에서 이끌어 내시고 하나님과 이스라엘 백성과의 관계를 지속할 수 있는 위한 방법으로서 제사법과 절기를 가르쳐 주셨다절기법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께 은혜를 입어 하나님의 백성으로 택정함을 받은 뒤 체험한 각종 구원사건을 정기적으로 기억하도록 하여 영적각성을 주기 위한 제도였다

레위기 23장은 구약의 어떤 장보다도 훨씬 더 이스라엘을 향한 많은 예언과 하나님의 계획들을 잘 보여 준다이 절기들이 질서있게 그리고 완전하게 잘 배열 되어져 있다각 절기들은 그 절기 나름대로의 고유한 의미를 갖고 있다이 7대 절기를 연대적으로 나열해 보면 이 절기들이 앞날의 사건들을 우리에게 보여주기 위해서 하나님의 섭리 아래 제정 되었음을 알 수 있다신약의 관점에서 보면 유대인들의 명절들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넓게 성취되어진 하나님의 예언의 달력 임을 보여준다그 달력 안에 있는 이 거룩한 날들은 장차 올 일의 그림자이며 실체는 예수 그리스도이다(2:17).


유월절 하나님께서 애굽에 내리신 마지막 재앙으로 인하여 애굽인들의 장자가 죽임으 당한데 반하여 이스라엘 백성들은 문설주에 바른 피에 의해서 구원함을 받음으로 재앙이 지난 것을 기념하는 축제이다(23:5)(28:16)(16:1).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의 역사를 말하며 이와같이 그리스도와 함께 죄인들의 연합을 의미한다유월절 희생양은 흠없으신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예시하고 갈보리 십자가의 사건을 상징한다절기의 시작은 1월 14일 저녁부터 시작되었다(23:5). 이 때 준비한 흠없고 1년된 어린 숫양을 14일에 무교병과 쓴 나물을 함께 먹었다(12:8).


무교절 애굽으로부터 급히 빠져 나왔던 이스라엘 백성이 누룩없는 무교병을 먹으며 고생을 한 것을 기념하기 위한 축제이다(23:15)(23:6). 
무교병은 하나님께 대한 전적인 희생과 봉사를 의미한다(12:16-20). 죄 없으신 예수 그리스도의 몸이 성도들을 위해 찢기심과 그의 부활에 대한 상징이며 성도들에게 주어지는 생명과 부활에 대한 확실한 소망을 주는 것으로 나타낸다(1:21-22). 
절기의 시작은 1월 15 - 21일까지 7일간 번제와 속죄제를 드린다(28:19-24). 7일간 무교병을 먹고 2일간은 곡식단을 흔들고 매일 번제를 드렸다그리고 첫날 과 마지막 날은 성회로 모이고 노동을 금했다(12:15-20).


초실절 첫 곡물을 주신 하나님께 감사하며 첫 곡식단을 봉헌하는 축제이다(23:10)(23:16).
이 절기는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에 들어간 다음에야 지켜질 수 있었다왜냐하면 광야에서는 농사를 짓지 않았으므로 수확을 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안식일 다음 날에 그리스도는 부활하셨다그리스도는 부활의 첫 열매로서 성도들의 부활의 보증이 되심을 나타낸다(8:23). 하나님께 바쳐진 첫 이삭단은 성도와 교회를 암시한다
절기의 시작은 무교절 후에 곡식의 단을 거두어 흔들고 번제와 소제를 드리며 예물을 드리기 전에는 먹지 말아야 한다(23:13-14). 이는 신약교회의 이방인의 추수를 상징한다.


오순절 초실절을 드린 후 7(50일째되는 날의 절기이다구약의 맥추절 또는 칠칠절인 절기가 신약적 의미로 변화되어 완성된 것이 오순절이다곡물 수확의 마지막 날로 지정하였고 곡식의 첫 열매를 바치는 축제이다(34:22)(23:15)(16:8).
예루살렘 회심의 유형이며 갈보리의 첫 열매를 의미한다신약에서는 성령강림절이라고 불리운다.
절기의 시작은 안식일 다음날 초실절 후에 50일 째에 소제로서 떡을 흔들고 번제속죄제화목제와 요제를 드렸다이 날은 성회로 공포되고 노동을 못하게 하고 오직 하나님과 교제하며 그의 은총만을 사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23:21).


나팔절 역사적으로 이 축제는 시나이 반도를 기념하며 나팔을 불어 성회에 모여 기뻐하고 즐거워하는 축제이다(23:24)(29:1).
절기의 시작은 유대교 일력으로 7월 1일 시행되었는데 이 날은 안식일이었고 그들은 성회로 모여 여호와께 화제를 드렸다이스라엘의 재결합에 의미를 두고 있다. 7이라는 숫자의 신성에 의한 인간력 새해 시작을 기념하는 날이다.
절차는 일반 월삭보다 더 큰 규모의 희생제사를 거행했다(29:6). 나팔을 불어 알리고 번제와 소제와 속죄제를 드렸다이 절기의 나팔소리는 마지막 날에 공중재림와 휴거를 상징한다.


속죄일 이스라엘의 죄들이 사함받은 날로 그날은 금식하며 일년 중 가장 기쁜 날의 축제이다(16:3)(23:27)(29:7).
절기의 시작은 유대인 일력의 7월 10일 안식일날로 성회에 모이고 노동을 금했다이 속죄일의 집행자는 대제사장이 지성소에 들어가 이스라엘의 속죄를 위해 하나님께 제사를 드렸다(16:34). 이스라엘의 현재의 비애와 미래의 기쁨을 말하며 온 백성의 죄를 속죄하며 성소를 정결하게 하였다(9:12-14). 
절차는 모든 백성은 금식하고 쉬며 번제와 소제를 드리고 속죄를 위한 염소를 잡아 피를 뿌리고 아사셀 염소는 광야로 보냈다그리스도의 속죄의 피를 예표하며 마지막 때의 지상재림과 성도들의 환란을 상징한다.


초막절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광야에서 천막생활을 인도보호하신 은혜를 기념하는 축제이다(23:16)(23:34)(29:12)(16:13). 
절기의 시작은 7월 15 - 21까지 칠 일간 계속되었고 그 다음날은 안식일이었다이 때 이스라엘 백성들은 종려나무나 감람나무 가지를 취하여 여호와 앞에서 즐거워했다(23:40). 토지 소산의 추수를 마칠 때 여호와의 절기를 지키기 위한 것이다새벽에는 해맞이와 관련된 의식과 아침에는 현수의식 그리고 밤에는 축제의식을 가졌다
절차는 초막에서 7일간 거주하며 매일 번제와 소제를 드리고 여덟 번째 날에는 성회로 모인다이스라엘의 천년회복(천년왕국)에 대하여 상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