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가 (내가 달려야 할)
*모세는 광야에서 놋뱀을 높이 들었다. 놋뱀은 범죄한 이스라엘을 상징하고, 놋뱀이 장대에 매달렸다는 것은 심판이 이루어 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수님은 그 이스라엘 백성들이 받아야 할 심판을 십자가에서 대신 받으셨다. 참혹한 십자가에 달린 예수 그리스도를 계속 바라보면, 그 자리가 놋 뱀과 같이 심판 받아야 마땅한 내가 있어야 할 자리임을 깨닫게 된다.
*십자가는 죄에 대한 완전한 심판을 상징한다. 죄의 삯은 사망이다. 우리 모두는 지옥가야 한다. 모든 죄인에게 죽음의 지옥의 영원한 형벌이 있을 뿐이다. 그러나 그리스도 안에서 (그리스도가 주신 은혜로)심판을 받는자는 그와 함께 부활의 생명으로 나타날 것이다. 죄로
/ 죽을 수 밖에 없는 내가 달려야 할 그 십자가.
/ 예수님께서 나 대신 달리신 그 십자가.
/ 그것은 나의 생명이었다. 영원한...
★그러니
\ 나는 나의 죄로 통곡해야 한다.
\ 예수님의 대속 하심에 감격 통곡해야 한다
\ 하나님과 화해됨에 통곡 해야 한다.
\ 예수님께서 죄와 죄가남긴 저주에서 자유케 하셨으니 기쁨과 감격의 통곡을 해야 한다.
\ 영원한 삶을 주신 예수님께 기쁨과 감격의 통곡으로 감사를 올려 드려야 한다.
롬3:19 우리가 알거니와 율법이 말하는 바는 율법 아래 있는 자들에게 말하는 것이니 이는 모든 입을 막고 온 세상으로 하나님의 심판 아래 있게 하려 함이니라
3:20 그러므로 율법의 행위로 그의 앞에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나니 율법으로는 죄를 깨달음이니라
*모든 인류를 향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모든 인류가
/ 율법 아래,
/ 하나님의 진노와 심판아래 있다는 하나님의 선언이다. 즉
/ 십자가는 모든 인류를 '죽을죄인' 으로 정죄한다.
/ 십자가는 모두가 죄인임을 증명한다.
★자신이 죄인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죄인은, 그 죄와 싸울 수 없으며 예수님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당신이 죄인이 아니라고? 그럼
/ 예수님이 미치셔서 십자가에 올라가셨겠느냐?
/ 하나님이 머리가 안 좋으시겠느냐?
/ 성령님이 장난치시겠느냐?
*하나님의 기준에서 보실 때 죄인이 아닌 자가 없다. 우리 모두는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한 죄인인 것이다. 그들이 스스로 행복하다고 느끼든, 비참 하다고 느끼든 상관없이 그들은 죄인이다. 그렇지 않게 생각되는 것은 그들과 우리의 착각의 기준일 뿐이다. 대적의 속임일 뿐이다.
/ 용서받지 못한 죄인은
/ 죄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죄인은
/ 죄인이지만 괜찮은 죄인이라고 생각하는 죄인은
결코 죄(사탄)와 싸울 수 없다. 죽지 않으려 발버둥 친다. 십자가의 보혈로 죽어야 한다.
*모든 성도들이 십자가에서 나타난 죄에 대한 진리를 깨닫고, 그리스도의 죽음에 같이 죽은 것(자기가 죽은 자기 십자가)을 믿음으로 화합하여 죄로부터 자유로운 생명으로 확증하고 이제 죄와 싸우는 군사로 일어 서야한다.
*십자가는 우리가 기대하거나 예상한 구원의 방법이 아니다. 기상천외 한 지혜의 부요하심이시다.
십자가는 하나님의
/ 완전하고도,
/ 절대적이고,
/ 주권적인 구원사역이다.
여호와 이레의 하나님이 친히 준비한 어린양 예수 그리스도는 유대인들의 기대와는 달리 죽임 당하는 종과 같은 메시야였다. 그래서 십자가는 유대인들에게 꺼리는 것이다.
*또한 십자가는 인간의 모든 행위와 노력을 거절한다, 십자가는 오직 하나님의 은혜만을 선포한다.
십자가는 구원에 관하여 인간의 능력 없음과 자격 없음(할게 없음)을 철저히 드러낸다.
*우리에게 돌아올 영광이나 자격은 전혀 없다. 그러나 부르심을 받은 교회에게는 십자가는 하나님의 능력이요 하나님의 지혜이다. 십자가는 영적 전쟁의 핵심이며, 그 전쟁의 분기점 이다.
당신은 십자가에서 죽었는가?
아니면 아직 죽지않고 살아있는가?
죽었느냐? 죽지 않았느냐?
이것이 영적 전쟁이며, 이것이 문제다.
'복음과 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음 1 - 초신자 (0) | 2017.06.30 |
---|---|
복음 - 죄가 가려진자.(시32) (0) | 2017.06.30 |
기도해도 소용 없다고? (사망에 이르는 죄) (0) | 2017.06.30 |
기도 - 기도의 종류 (0) | 2017.06.30 |
기도 - 아버지의 뜻 대로 하옵소서... (0) | 2017.06.30 |